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증상과 사례들

by ⑅〶⎾⏄⍟⍖⍛⌇ 2021. 10. 31.
반응형

최근 들어 심리∙정신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모습을 가진 주인공을 메인 소재로 그리는 영화나 드라마가 자주 보입니다. 영화 '나쁜 남자'에서는 평범한 여대생이 야수 같은 남자의 욕망에 휘말려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는 이야기를 그리는데요. 그녀는 가혹한 운명을 벗어날 기회를 잡기도 했지만, 이상하게도 남자에 대한 연민을 보이며 탈출하지 못하죠. 지나치게 영화 같은, 드라마틱한 내용이라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실제 인간 행동에도 나타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뜻

피해자가 가해자를 변호하는 심리 현상을 스톡홀름 증후군이라 부릅니다. 피해를 받은 인질은 해를 가한 범인에게 동조하고 감화되며 비이성적인 행동을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 가족 관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납니다. 부부간 폭력이나 아동 학대 등에서 '가해자가 때리긴 해도 착한 사람이다'라고 변호하는것처럼 말이죠. 반대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동화되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는데, 이를 리마 증후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질병이 아니기에 정확한 기준에 대해 아직 전문가들의 이견들이 많은 상태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입니다.

  •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긍정적임
  • 오히려 자신을 도와주려했던 친구, 가족, 경찰 등의 대상들에게 부정적임
  • 이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무력감을 종종 경험함
  • 두려운 대상을 동경함으로써 그 두려움을 극복하려 함
  •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친절하게 보이거나 피해를 주지 않는 것처럼 말할 수 있음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진단받은 사람들과 비슷한 증상(불면증, 집중력 장애, 비 사실감 등)을 가지고 있음

 

그렇다면, 이러한 이상 심리 현상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가해자가 친절한 모습을 보인적이 있었다면, 피해자의 자아는 생존과 가해자를 동화시켜 버립니다. 이에 따라 가해자가 가한 폭력적 행동을 합리화 하기 시작하는데요. 이 합리화가 가해자에 대한 두려움보다 클 경우 발생된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목격할 수 있는 사례들

가족 관계

부부 관계, 혹은 부모 자녀 사이에서는 당연하게도 가족이라는 관계가 형성됩니다. 그러나 가정 폭력이 일어났을때조차 인지하지 못하여 '그래도 가족이잖아'라는 생각으로 지나쳐버리기 마련입니다. 가족 관계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은 부모에 대한 애착이나 동일시로 해결하려는 모습도 보일 수 있습니다.

 

연인 관계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은, 폭력이 잦을수록 연인의 애정표현에서 더 큰 사랑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유명한 해외 사례들

1970년대 미국의 19세 여성(패티 허스트)는 납치를 당했지만, 납치범에게 동화되어 2개월 뒤 납치범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은행 습격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정신이상자에게 납치된 소녀(엘리자베스 스마트)는, 성적 학대를 당하고 부인 행세를 하도록 강요당했었습니다. 그러나 납치 기간 동안 신체적 구속이 전혀 없는 상태였는데도 도망가지 않고 계속 범인과 함께 생활했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