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또 다른 트위터, 마스토돈(Mastodon)이란?

by ⑅〶⎾⏄⍟⍖⍛⌇1 2023. 6. 28.
반응형

이제야 이름이 알려지고 있지만, 사실 마스토돈은 2016년 3월 16일 출시했습니다. 2021년과 2022년에 연달아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용 공식 앱이 공개되며 국내에서도 일부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마스토돈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제2의 트위터 마스토돈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SNS 이용방식과 다를 바 없습니다. 특히 그중에서도 트위터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마스토돈은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형 오픈소스로 누구나 서버(인스턴스)를 운영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의 개발자 오이켄 로흐코(Eugen Rochko)는 무료 오픈소스로 마스토돈(Mastodon)을 공개했습니다. 마스토돈이란 이름은 코끼리의 일종으로, 앱 아이콘도 귀여운 코끼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마스토돈 로고

 

마스토돈 사용법

다른 SNS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프로필을 만들고 원하는 글, 이미지, 동영상을 올릴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를 팔로우 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에 작성 가능한 글자의 개수는 500자. 업데이트한 글은 항상 시간 순서대로 배치됩니다. 기능적으론 트위터와 가장 비슷하지만 트위터와 달리 누구나 자신만의 인스턴스를 개설해 고유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자신만의 마스토돈 사이트를 만든 결과물을 일컫는데, 이는 다른 인스턴스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커뮤니티에 있는 계정과도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내 인스턴스에 나만의 이용약관을 만들어 운영이 가능하다는 특징은 다른 SNS들과 다르게 대형 광고회사가 "내 인스턴스에 마음대로 광고를 끼워 팔아먹을 수 없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스턴스는 오로지 인스턴스를 만든 커뮤니티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됩니다.

 

글을 올릴 때 보는 사람의 범주를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정하거나 숨기는 것이 가능하며, 로컬∙연합 타임라인 기능으로 내가 팔로우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글들을 모아 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클라이언트용 주소와 방문자용 주소가 나뉘어 있습니다.

 

다른 인스턴스에 있는 유저를 찾고 싶을 경우엔 "@아이디@서버이름"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사용자는 툿(트위터의 '트윗'과 같은 기능), 부스트(트위터의 '리트윗' 기능), 즐겨찾기(북마크 기능), 멘션, 답장, CW(민감한 콘텐츠) 등을 설정하여 원하는 대로 마스토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작성한 툿의 공개 설정 여부를 '지구 모양 아이콘'을 선택하여 공개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단, 한번 작성된 툿의 설정 여부는 나중에 수정이 불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