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퓰리즘 뜻 간단정리

by ⑅〶⎾⏄⍟⍖⍛⌇1 2022. 3. 2.
반응형

선거가 다가오면서 동시에 정치나 사회에 시민들의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문서를 읽다 보면 포퓰리즘이라는 단어를 간혹 보실 수도 있는데요. 평소에 사용되는 말이 아니다 보니 의미를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포퓰리즘이란?

유권자의 지지를 얻기 위해 대중 영합적 정치선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쉽게 예를들면, 대중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무료로 음식을 제공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본 단어는 '대중', '민중'을 뜻하는 라틴어 포풀루스(populus)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대로 직역하면 대중들을 위한 정치라는 의미인데, 이어 붙여서 대중주의민중주의 정도 되겠네요.

 

처음에는 소수 엘리트의 지배에 맞서 시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말로 긍정적인 의미로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엔 시민들의 인기만을 쫓아 비현실적인 선심성 정책을 내세우는 일을 가리키는 부정적 개념이 됐습니다. 반대되는 말로 엘리티즘이 있습니다.

 

문제점과 예시

포퓰리즘은 일반 대중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논리보다 감성에 호소하거나, 근거와 이행 가능성을 자세히 담은 공약이 부족한 비현실적 공약을 선심 쓰듯 남발하는 문제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공산주의의 기본적인 의미는 좋으나 결국 쇠퇴한 것처럼, 잘만 활용되면 민주주의 체제 아래 국민주권과 직접 민주주의적 가치를 반영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포풀리즘에만 사로잡힌다면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정책을 내세우거나, 반드시 필요한 정책도 제대로 검토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인기를 모으는데서 벗어나려면 정치인에겐 확실한 목표의식이나 정치적 비전이 필요하며, 유권자에겐 이를 정확하게 분별할 수 있는 정치적 관심이나 노력이 요구됩니다.

 

반응형

1950년대 아르헨티나에선 후안 도밍고 페론 대통령이 빈민을 위한 포퓰리즘 정책으로, 돈을 싣고 다니며 뿌리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인적 있는데요. 결국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치닫게 하여 대표적인 포퓰리즘의 나쁜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도 언론을 통해 기득권층을 악으로 모는 등 포퓰리스트적 면모를 보인 바 있습니다. 그러나 취임 당시 스스로 속한 자민당의 파벌정치를 타파하는 등 개혁을 추진하여 높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무상급식이나 반값등록금 논의가 '좌파 포퓰리즘이다', '복지 포퓰리즘이다'라는 비판을 받은적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