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딥페이크 뜻과 사례들

by ⑅〶⎾⏄⍟⍖⍛⌇1 2022. 2. 4.
반응형

딥페이크란 딥 러닝의 'Deep'과 가짜의 'Face' 단어를 합친 합성어입니다. 실제 사람들의 얼굴 패턴을 분석해서 얼굴 표정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이죠. 우리는 이 기술이 적용된 재미있거나 위험한 동영상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딥 페이크의 뜻과 사례들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딥페이크 뜻

딥 페이크(Deepfake) = 딥 러닝(Deep learning) + 페이크(Fake)

딥페이크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입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이라는 기계 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또 다른 사진이나 영상에 겹쳐서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병렬 연산장치의 성능에 따라 속도와 품질이 결정되며,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합성하려는 인물 얼굴이 주로 나오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딥 러닝한다.
  2. 대상이 되는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합성시킨다.

사실, 딥 페이크 기술은 처음에 포르노 산업에 많이 사용됐습니다. 2019년 온라인상에 있던 모든 딥페이크 동영상 95% 이상이 당사자의 동의를 받지 않은 성인 동영상이었죠. 유명 연예인들의 얼굴을 딥페이크 기술을 적용하여 안타까운 피해를 입는 사례들이 많았습니다. 

 

딥 페이크가 얼굴을 바꿔치기한 것이라면 몸을 바꿔치기하는 '딥 누드'라는 단어도 생겼습니다. 비키니 등 노출이 많은 사진들을 나체 사진으로 합성하는 것처럼 말이죠. 또 'JavPlayer'가 있는데, 이것은 성인 동영상의 모자이크를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아직 딥 페이크에 대한 처벌이나 법이 명확하지 않고, 누가 올렸는지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을 악용한 것입니다.

 

이렇게 지금은 딥 페이크 기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보다는 악용 위험성에 경고가 더 많이 들립니다. 음란물을 만드는데 뿐만아니라 정치적, 사회적인 중요도가 높은 인물에게 딥페이크 영상을 사용하여 거짓된 정보로 대중을 선동하여 국제적인 불안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구글과 페이스북은 상영되는 광고에 딥 페이크는 금지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악용 사례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딥 페이크 활용 사례

엠넷의 '다시 한번'
세상을 떠난 옛 가수들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재현하는 TV 프로그램

2020년 12월, 케이블 음악채널 엠넷은 '다시 한번'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혼성그룹 거북이의 리더였던 터틀맨과 가수 김현식의 목소리와 모습을 복원하여 새로운 곡과 무대를 선보인적이 있습니다. 이미 세상을 떠난 가수들이 돌아온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킬정도로 목소리와 표정, 몸짓이 생생하게 구현됐었죠. 이런 무대가 가능했던 건 AI 음성합성 기술과 영상 합성 기술의 발전 덕분입니다.

 

딥 노스텔지어
어린 나이에 순국한 유관순, 윤봉길, 안중근 영상 복원

독일의 온라인 족보 사이트 '마이 헤리티지(MY Heritage)'가 초 딥 페이크 기술을 적용하여 큰 화제가 됐었습니다. 이스라엘 AI 기업인 '디아이디'의 AI 기술을 적용한 '딥 노스탤지어' 서비스를 선보인것 때문인데요. 해당 서비스로 18세의 나이로 순국한 유관순 열사의 모습, 윤봉길 의사, 안중근 의사의 모습까지 눈을 깜빡이거나 고개를 돌리는 생생한 영상으로 되살려냈습니다. 딥 노스텔지어 서비스는 이미 해외 각국에서 돌아가신 할머니, 할아버지, 부모님 등 모습을 영상으로 합성하는 용도로 활용돼 가족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라이어버드
알츠하이머 환자들을 위한 복지 서비스

미국의 기업 라이어버드(Lyrebird)는 환자들을 위한 복지에 딥 페이크 기술을 적용하여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을 앓게 되면 신경망 퇴화로 인한 발음 장애로 말하기가 어려워지는데요. 초기에 환자의 음성을 미리 녹음하여 인공지능에 학습시킨 다음, 병이 심화돼 정상적 발성이 어려워지면 환자가 하고자 하는 말을 알아듣고 스피커로 발음해주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비슷하게 구글(Google)에서도 자사 개발자 대회를 통해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음성 보조 인공지능 '프로젝트 유포리아'를 선보인적 있습니다.

 

말라리아 머스트 다이
베컴의 말라리아 퇴치 광고

영국을 대표하는 축구선수였던 데이비드 베컴은 2020년 '말라리아 머스트 다이(Malaria Must Die)'라는 단체가 만든 광고에 출연한 적 있습니다. 자국어인 영어뿐만 아니라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등 9개 국어로 '말라리아에 대항해서 같이 싸우자'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는데요. 물론 베컴이 실제로 9개 국어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딥 페이크 기술로 입 모양을 수정해서 제작한 광고였던 것입니다.

 

이 외에도 딥페이크 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줄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신원 확인 수단
    딥러닝을 통해 수많은 얼굴 정보를 익히고, 얼굴 인식능력을 향상한다. 이는 범죄자 색출이나 테러범 차단 등 신원 확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질병 예방
    CT, MRI의 자료 분석을 통해서 암 징후 등을 미리 찾고 예방할 수 있다.
  • 영화 산업
    실제 촬영을 하지 않더라도 생동감 있고 실제보다 뛰어난 영상을 만들 수 있다.
  • 교육산업
    목소리 녹음을 통해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줄 수 있다. 부모의 모습으로 아이의 곁에 있어줄 수 있다.
  • 보고 싶은 사람의 생전 모습 소환
    다시는 보지 못하는 사람들의 생전 모습을 담아 영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

 

 

앞으로 딥 페이크, AI 기술이 인간에게 가져다줄 새로운 가능성은 무궁무진한것 같습니다. 국내에서 딥페이크 범죄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법 조항에 따르면 '대상자의 의사에 반해 사람의 얼굴, 신체나 음성을 편집, 합성, 가공하여 촬영하거나 영상물 등을 제작하여 유포할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가 있습니다. 엄청난 가능성을 가진 이 기술에, 경각심을 가지고 올바르게 활용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